'IT'에 해당되는 글 126건
- 2009.04.29 Clearvision - 우리나라에도 형상관리 컨설팅그룹이 가능 할까?
- 2009.04.26 형상관리 [원격지개발]에 대한 용어 이야기 3
- 2009.04.23 Gatner : Magic Quadrant for Software Change and Configuration Management for Distributed Platforms
- 2009.04.19 한RSS 디렉토리 등록
- 2009.04.17 챔프정보, 굿모닝신한증권 신시스템 형상관리 공급
- 2009.04.14 자체 제작한 버그관리 시스템도 훌륭합니다. 2
- 2009.03.28 오래된 문서 - 실루엣 형상관리 방안 1
- 2009.03.26 [실루엣 Eclipse Plug-In for ProFrame] POC완료
- 2009.03.11 세계적인 표준(수준)이라는 옷에 몸을 맞추십시오. 1
- 2009.02.18 캐드작업도 온라인 게임처럼 진행할 수 있게 만들겠다.
형상관리 [원격지개발]에 대한 용어 이야기
실루엣 형상관리솔루션을 컨설팅하면서 고객에게 요구사항을 해결하는 솔루션을 설명하다 보면, 분명 동일한 용어인데 벤더에 따라 너무나 상이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혼동이 자주 발생합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원격지개발]이라는 용어 입니다.
IBM ClearCase의 경우 [원격지개발]을 지원하기 위해서 MultiSite라는 제품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IBM MultiSite 제품소개, 한글)
상황에 따른 정의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Case 1 -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개발팀이 상호 독립적인 레파지토리를 가지고 개발을 진행하면서, 필요한 시점에 레파지토리를 동기화 시키는 방안(IBM MulitiSite)
Case 2 -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개발팀이 하나의 통합된 레파지토리에 대해서, 광대역 네트워크(주로 인터넷, 전용선)를 사용하여 개발을 진행하는 방법(실루엣, CVS, SVN)
Case 3 - 원격지의 작업영역(주로 Unix, Linux 환경)에 대해서 FTP를 사용하여 체크인/아웃을 사용하는 방법(실루엣)
원격지라는 용어 자체가 지역적으로 분할 된 상황일 수도 있고, 개발자 입장에서는 물리적으로 분할 된 상황 일 수 있습니다.
이제까지의 형상관리 클라이언트들은 Unix/Linux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서 Unix/Linux용 Command Line Interface를 제공 하고 있었습니다. (ClearCase, Harvest, CVS...)
즉, 형상관리가 구동되는 환경이 작업영역에서 구동되었기 때문에, 원격지에서 개발되는 작업영역에 대한 지원이라는 것이 아주 특별한 상황이었던 것이죠.
[실루엣 프로젝트별 작업영역 설정 리스트]
위 실루엣 프로젝트별 작업영역 설정 리스트를 보면, Unix환경에서 개발되는 프로젝트와 개발자 PC(Local)에서 개발되는 프로젝트가 모두 설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한가지 상황이 더 해지게 되는데, CVS/SVN의 경우 공용모드의 개발이 불가능합니다. 우리나라에만 있는 문화이겠지만 :). Oracle Pro*C를 개발하는 환경에서 서버에 하나의 Unix계정만 생성하고, 모든 개발자가 그 계정으로 접속해서 개발하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아무리 CVS/SVN이 Unix Client를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현실적으로 서버에서 형상관리가 불가능합니다. 물론 실루엣은 이러한 국내의 환경을 감안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작업영역을 설정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지역적으로 분산된 개발환경에 대한 경우는, 예전의 형상관리 도구들은 레파지토리를 Windows 네트워크 드라이브나, Unix Mount를 사용해서 연결 해야만 했습니다. (Ex, ClearCase)
그렇다 보니, 지역적으로 분산된 개발환경이거나 사용자가 아주 많게 되면 퍼포먼스에 지대한 문제가 발생하고는 했습니다.
하지만, 요즘 트랜드를 반영하는 실루엣이나 SVN의 경우를 보면, 인터넷을 사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레파지토리에 대해서 자유롭게 체크인/아웃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실루엣을 사용하고 계신 L사에서는 상암 IDC에 있는 단일 레파지토리에 중국개발센터에서 접속해서 자유롭게 체크인/아웃 하고 계십니다.
물론 네트워크적으로 완전히 단절된 상황이라면, Mecurial, git과 같은 "분산개발전문" 형상관리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 되어야 합니다.
이상 원격지개발이라는 용어기준으로 사용자가 고려 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았습니다. 다음번에는 병렬개발과 브랜치/프로모트를 한번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Gatner : Magic Quadrant for Software Change and Configuration Management for Distributed Platforms
가트너의 ALM 시장 벤더에 대한 보고서가 Serena를 통해서 메일로 배포되었습니다.
관련업계에 관한 내용이라 한자도 빠지지 않고 보았는데...공감하는 내용도 많았고, 수긍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습니다.
혹시 외산 ALM 형상관리 도구의 도입을 검토하고 계신분들에게는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7Page 부터 나오는 각 제품에 대한 장점과 단점을 보시면 되겠습니다.
다만, 국내에 딜리버리 되는 제품과 아닌 제품이 있는 관계로 몇몇 제품은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정곡을 찌르는 몇줄은...
8 Page: Borland - The company's sales team need to continue to build...
8 Page: IBM(Rational) - The Price for performance is high,...
9 Page: Microsoft - The installation process is still spartan...
10 Page : Subversion - The Merge Tracking function is new and still evolving.
ALM에서 진정 은탄환은 없나 봅니다.
한RSS 디렉토리 등록
챔프정보, 굿모닝신한증권 신시스템 형상관리 공급
흔히 차세대라고 불리우는 신시스템용 형상관리를 오픈하는 것은 늘 조마조마 합니다. 일반적인 SM환경의 형상관리를 오픈하는 것과는 압박(Press)의 강도가 전혀 다릅니다.
이번에 구축된 실루엣에 축적되는 개발자의 행동패턴자료를 분석해서 신시스템 오픈 할 즈음해서 보고자료를 한번 만들어 볼 생각입니다. :)
챔프정보, 굿모닝신한증권 신시스템 형상관리 공급
형상관리 솔루션 전문업체인 챔프정보(대표이사 박옥구, www.champit.co.kr)는 우리투자증권 신시스템 형상관리 공급에 이어서, 국내 대형 증권사인 굿모닝신한증권 신시스템 형상관리 솔루션 실루엣의 공급을 4월 6일 완료하였다.
굿모닝신한증권 신시스템은 주요 개발환경으로 TMAX ProFrame과 ITGen FormDesigner를 사용하고 있으며, 실루엣은 소스의 무결성 확보와 개발의 편의성 확보라는 두가지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서 실루엣과 ProFrame, 실루엣과 FormDesigner 시스템 간 연동을 구현하여 개발자가 간편하게 체크인/아웃 및 이행요청까지 연동 될 수 있도록 구현 하였다.
굿모닝신한증권 신시스템 형상관리담당자 이기현 차장은
"ProFrame의 경우에, 개발도구 상에서 보이는 하나의 서비스가 실제 파일(소스)로는 평균 15개정도로 구성 되는데, 기존의 형상관리 도구는 파일중심의 관리이기 때문에, 개발자가 일일이 서비스에 해당하는 파일을 찾아서 선택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 합니다.
그래서 이번 신시스템 형상관리 구축에 가장 신경을 쓴 부분은 개발자가 ProFrame 네비게이터와 유사한 형태의 View(그림1)를 통해서 체크인/아웃 하고, 이행 및 결과로그를 한눈에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으며, FormDesigner까지 연동되어 그 효과가 배가되었습니다."
라고 성공적인 형상관리 시스템 구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굿모닝신한증권 신시스템 형상관리는 시간당 200건, 하루 2,000건의 이행요청을 처리하고 있으며, 2차 통합테스트단계를 거처, 3차 통합테스트 단계에서는 이행승인 통제를 적용하여 프로젝트 진행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사용 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개발도구와의 통합, 개발생산성 확보, 유연한 승인통제 등 신시스템 구축과정에서 필수로 요구되는 기능을 모두 구현한 솔루션입니다.
챔프정보는 추가사업으로 "프로프레임 스튜디오"에 Plug-in 형태로 사용 할 수 있는 " 실루엣 Eclipse Plug-in for ProFrame"을 개발 중에 있으며, 2009년 6월중 런칭하고, TMAX ProFrame을 사용하고 있는 전 사이트를 대상으로 영업을 확대 할 계획이다.
주)이 자료는 (주)챔프정보 품질관리팀에서 작성한 것으로 언론매체가 보도를 목적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체 제작한 버그관리 시스템도 훌륭합니다.
사실입니다.!!!
실루엣은 실루엣을 사용하여 버전관리를 하고, 코드인사이드2를 사용하여 이슈추적과 빌드+릴리즈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오래된 문서 - 실루엣 형상관리 방안
[실루엣 Eclipse Plug-In for ProFrame] POC완료
제품을 개발하는 것은 항상 고뇌의 연속인것 같습니다. :)
세계적인 표준(수준)이라는 옷에 몸을 맞추십시오.
IBM Solution Day 2009에 다녀 왔습니다.
몸에 옷을 맞추는 편안함으로는, 현재의 경쟁적이고 어려운 상황을 극복 할 수 없습니다.
세계적인 표준(수준)이라는 옷에 몸을 맞추기 위해서 살을 깍고, 뼈를 깍는 노력을 하면, 세계적인 제품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IBM Solution Day의 핵심은, 인수로 IBM의 제품이된 Telelogic과 Jazz 플렛폼의 소개입니다만, 기존에 (상당기간동안)많은 매출이 있었던(그리고 이제는 Old Fashion이 되어버린) PVCS, ClearCase, ClearQuest에 대한 고민도 함께 느낄수 있는 상황인것 같습니다.
IBM의 차세대 먹거리인 Jazz Team Concert가 CVS+SVN+(Jira...)에 Eclipse ALM시장을 내준 상태에서, VSTS가 버티고 있는 VisualStudio시장을 공략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아보입니다.
물론, Telelogic이라는 좋은 솔루션이 새식구로 합류했지만... 시장의 확대는 고민이 되는 부분입니다.
여기에, 몇 년 동안 실루엣과 같은 국산 ALM도구들이 가지고 있는 틈새시장과 경쟁하는 것 또한 커스터마이징의 한계 때문에 요원한 것도 사실이고요.
몸에 옷을 맞추는 편안함이라는 단어에서, Global Standard한 제품을 써야지만 Global한 경쟁력을 가진다는 조금은 오만한 Keynote에 항의를 하고 싶습니다. :)
실루엣팀도 물론 지향하는 바가 Global한 표준을 따라가기 위해서 많은 고민을 하고있습니다만, ALM이라는 제품의 특성상 개발자, 개발조직 및 관리조직의 문화가 변화되지 않는데, 제품의 기능으로 그것을 강제하려 한다면, 그 제품에 대한 효용 혹은 실용은 급격히 떨어지게 되고, 이름만 있는 그리고 (도움이되게)사용되지 않는 제품이 된다는 것을 너무나 잘 알고 있습니다.
Jazz Team Concert가 Eclipse(+Add On, PlugIn)부흥 시점에 맞추어, 4년정도만 일찍 소개되었다면 어떤일이 있었을까? 하고 상상해 봅니다.
캐드작업도 온라인 게임처럼 진행할 수 있게 만들겠다.
현재는 캐드 솔루션이 대용량이라 협업이 보편화되지 않았지만, 솔루션이 점차 가벼워지는 미래에는 인터넷에서 이용자가 함께 온라인게임을 하듯 캐드작업을 하는 형태로 진화할 것이다.
실루엣팀이 바라보는 미래의 형상관리 솔루션 모습도 그러합니다.
개발환경은 온라인 게임을 하듯이 비쥬얼한 모양새로 진화 할 것이고, 그런 인프라를 지탱하는 협업과 레파지토리의 엔진은 실루엣과 같은 형상관리 솔루션이 제공 하게 될 것 입니다.
실루엣팀만이 이런 생각을 하는것은 아니구나... (휴~ 우리가 이상한게 아니군.)하는 안도감을 가져보는 아침입니다.